1948-12-29
% complete
1948년 12월 서울특별자유시가 서울특별시로 개칭되면서 서울시의 토목, 도시계획, 하수, 운수 등을 총괄하는 건설국이 신설되었다. 도시계획이 본격화 되는 1960년대에 들어 도시계획을 총괄하는 도시계획국, 상하수 및 치수관리를 총괄하는 수도국 등이 분화되었고, 1973년 본격적인 건설.건축분야 업무기능 분화에 따른 조직개편시까지 서울시의 전반적인 건설.건축 업무를 건설국에서 총괄 수행하였다.
1973-06-08
% complete
1970년대는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이 시작된 시기다. 현대적인 기반시설 확충과 도시건설 등 새로운 도시계획 행정에 대한 요구도 증하였다. 서울시도 도시성장과 개발에 관한 다양한 제도 신설.계획 등을 수립하였고, 그에 발맞춰 도시기반시설 계획 및 건설은 도시계회국과 건설국이, 주택건설 및 재개발은 주택국이 각각 수행하게 된다. 이후 도로, 하천, 지하철 등 도시기반시설이 활발하게 건설되었다.
1982
% complete
1950년대 이후 꾸준히 추진되었던 하천건설과 함께, 1980년대 들어 치수관리를 위한 한강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를 위해, 주택 및 도로건설을 위한 건설관리국과 구분하여 하수와 치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하수국이 신설되었고, 한강관리사업 등의 사업소를 두어 한강개발을 꾸준히 추진하였다.
1998-08-12
% complete
주택건설, 도시개발 등이 일정하게 이뤄진 1990년대 후반에는 이미 개발된 주택 및 시설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보완하기 위해 도로건설, 치수, 하수 등을 건설국에 집중하여 통합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1954-04-15 - 1958-02-21
% complete
1958-02-22 - 1966-05-30
% complete
1962-02-01 - 1979-09-25
% complete
1966-06-01 - 1968-11-25
% complete
1966-06-01 - 1968-11-25
% complete
1966-06-01 - 1968-11-25
% complete
1968-11-26 - 1972-06-25
% complete
1968-11-26 - 1972-06-25
% complete
1969-02-18 - 1975-01-22
% complete
1970-03-16 - 1974-04-14
% complete
1972-06-26 - 1974-11-13
% complete
1974-04-15 - 1981-02-06
% complete
1975-01-23 - 1981-11-08
% complete
1976-12-31 - 1981-11-08
% complete
1979-09-26 - 1996-01-14
% complete
1981-02-07 - 1984-10-02
% complete
1981-08-29 - 2005-10-26
% complete
1981-11-09 - 1993-03-17
% complete
1984-10-02 - 2007-07-29
% complete
1988-08-19 - 1996-01-14
% complete
1989-11-03 - 2007-07-30
% complete
1990-03-20 - 2007-07-29
% complete
1994-01-10 - 2017-03-08
% complete
1996-01-15 - 2003-01-14
% complete
2003-01-15 - 2007-12-25
% complete
2005-10-27 - 2017-03-08
% complete
2007-07-30 - 2007-12-31
% complete
2007-07-30 - 2019-02-01
% complete
2007-07-30 - 2019-02-01
% complete
2007-12-26 - 2018-12-30
% complete
2017-03-09 - 2018-12-30
% complete
2018-12-31 - 2019-02-01
% complete
1945-08-16 - 1945-09-08
% complete
1945-09-08 - 1946-09-18
% complete
1946-09-18 - 1948-12-29
% complete
1947-02-28 - 1948-12-29
% complete
1948-12-29 - 1979-09-25
% complete
1957-06-10 - 1975-01-26
% complete
1961-03-17 - 1981-11-08
% complete
1962-02-01 - 1976-02-07
% complete
1962-08-04 - 1978-05-29
% complete
1962-08-04 - 1966-01-09
% complete
1962-08-04 - 1966-01-09
% complete
1965-04-20 - 1980-06-30
% complete
1966-01-10 - 1981-11-08
% complete
1966-01-10 - 1981-11-08
% complete
1966-01-10 - 1972-01-20
% complete
1968-01-10 - 1975-01-28
% complete
1969-02-18 - 1981-11-08
% complete
1970-01-01 - 1971-01-11
% complete
1970-06-18 - 1972-01-10
% complete
1970-09-24 - 1973-06-07
% complete
1972-01-21 - 1981-11-08
% complete
1972-10-27 - 1986-08-15
% complete
1973-06-08 - 1981-11-08
% complete
1975-01-23 - 1979-09-30
% complete
1976-02-07 - 1979-09-25
% complete
1976-04-08 - 1986-08-15
% complete
1976-12-31 - 1981-11-08
% complete
1978-05-30 - 1981-11-08
% complete
1978-05-30 - 1981-11-08
% complete
1979-09-26 - 1981-11-08
% complete
1979-09-26 - 1981-11-08
% complete
1979-09-26 - 2019-02-01
% complete
1980-07-01 - 1989-11-02
% complete
1980-07-01 - 1989-11-02
% complete
1980-08-08 - 1981-11-08
% complete
1981-11-09 - 1989-10-31
% complete
1981-11-09 - 1989-10-31
% complete
1981-11-09 - 1996-01-14
% complete
1983-05-02 - 1989-11-02
% complete
1986-08-16 - 1989-07-23
% complete
1989-02-01 - 2004-03-17
% complete
1989-04-17 - 1994-11-30
% complete
1989-04-17 - 1994-11-30
% complete
1989-04-17 - 1994-11-30
% complete
1989-04-17 - 1994-11-30
% complete
1989-07-24 - 1992-12-01
% complete
1989-11-01 - 1998-08-11
% complete
1989-11-01 - 1998-08-11
% complete
1989-11-01 - 2010-09-26
% complete
1989-11-03 - 2019-02-01
% complete
1989-12-27 - 1992-12-01
% complete
1992-12-02 - 2005-11-09
% complete
1992-12-02 - 2003-01-09
% complete
1994-12-01 - 1996-01-14
% complete
1996-01-15 - 2003-01-28
% complete
1997-12-05 - 2005-01-04
% complete
1998-08-12 - 2003-01-14
% complete
2002-12-06 - 2004-02-04
% complete
2003-01-10 - 2007-01-01
% complete
2003-01-15 - 2007-12-25
% complete
2003-01-15 - 2006-05-10
10% complete
2003-01-29 - 2007-12-26
% complete
2004-03-17 - 2016-09-01
% complete
2005-06-23 - 2007-01-01
% complete
2005-11-10 - 2019-02-01
% complete
2006-01-01 - 2007-01-01
% complete
2007-01-02 - 2007-12-25
% complete
2007-01-02 - 2019-02-01
% complete
2007-12-26 - 2010-09-26
% complete
2007-12-26 - 2010-09-26
% complete
2007-12-26 - 2018-12-30
% complete
2007-12-26 - 2010-09-26
% complete
2010-09-27 - December 27, 2011
% complete
2010-09-27 - December 27, 2011
% complete
2010-09-27 - 2019-02-01
% complete
2011-12-29 - 2014-12-29
% complete
2011-12-29 - 2014-12-29
% complete
2012-03-15 - 2013-10-03
% complete
2012-09-28 - 2013-10-03
% complete
2013-10-04 - 2016-05-29
% complete
2014-12-30 - 2015-08-26
% complete
2014-12-30 - 2018-12-30
% complete
2014-12-30 - 2018-12-30
% complete
2015-08-27 - 2018-12-30
% complete
2015-08-27 - 2019-02-01
% complete
2016-06-30 - 2019-02-01
% complete
2016-09-01 - 2019-02-01
% complete
2018-12-31 - 2019-02-01
% complete
2018-12-31 - 2019-02-01
% complete
1960 - 1979
% complete
기반기능 확충기는 인구급증에 따른 도시기반 시설을 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시기였다. 이 시기 서울시는 개발관련 재정 및 계획수립, 상하수도 확충, 도로 및 하천 정비에 집중하였다.
1966
% complete
양화대교 1966
한남대교 1969
잠실대교 1972
천호대교 1974
1966
% complete
1967
% complete
1967
% complete
1968
% complete
1968
% complete
1969
% complete
1971
% complete
1974
% complete
1980 - 2000
% complete
도시성장기는 기초 도시기반시설 확충 이후 도심환경개선사업과 서울 인구 및 기반시설의 포화를 대비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서울시내 부도심지역 개발, 교통시설 정비 등에 집중하였다.
1982
% complete
1984
% complete
1985
% complete
1986
% complete
1991
% complete
1992
% complete
1994
% complete
1994
% complete
1996
% complete
2001 - 2020
% complete
하드웨어 중심 정책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정책으로 전환하는 시기이다. 과거, 개발의 상징이었던 청계천 일대를 재정비하고 IT 기술을 활용한 전자정부, 대중교통시스템 개혁 등의 사업에 집중 하였다.
2002
% complete
2004
% complete
2009
% complete
2009
% complete
1952 - 1962
% complete
‘서울시 도시재건계획’(1952년)은 전쟁 이후 수도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행정구역을 확장하고 도시계획구역을 확장·변경하는 계획 수립이었다. 전쟁 피해가 심한 도심지역 위주의 재개발사업으로 토지구획정리방법을 시행하였다. 이 시기의 도시계획은 전문가들의 손에 의해 이루어진 수도 도시계획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1950년대 도시계획 업무기능 중 핵심사업은 토지구획정리사업, 도로확장계획, 용도지역계획이었다.
1963 - 1971
% complete
‘서울시 재정비계획’(1963년)은 종합적 장기계획이자 증가하는 서울 인구에 대비한 재정비계획으로써 시민들에게 처음으로 공개되는 도시계획이었다. 이전의 도시계획이 지역지구계획이자 가로망 중심의 물적 계획이었다면 이에 비해 형식적인 면에서 사회경제부문을 포함한 종합계획의 성격을 띤다.
특징은 도심 기능의 편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을 4개 지구로 구분하여 기능을 분산토록 했다는 점이다. 도시계획구역을 대폭 확대하고 인구 계획과 지구별 산업 비율 조정 계획을 수립했으며, 용도지역계획을 통해 기능별 11개 부도심을 형성토록 하였다.
1960년대 도시계획 업무기능 중 핵심사업은 건축법, 도시계획법, 토지구획정리사업법 공표 및 재개발지구 정책 도입(도심재개발)이었다.
1969
% complete
1971
% complete
1971
% complete
1972 - 1979
% complete
‘시정종합계획’(1972년)은 도심에 집중되는 인구와 기능을 부도심에 분산시키기 위해 제반 여건의 변화를 부분적으로 보완하는 수정계획. 물리적 계획과 사회경제적 계획까지 포괄하는 수정계획으로, 도시개발행정을 추진하기 위한 지침서적인 계획이다. 1966년 계획안을 수정한 ‘도시기본계획조정’(1970년)을 기반으로 세워져 1978년 ‘서울도시기본계획’으로 이어지는 총체적인 도시계획이었다.
1970년대 도시계획 업무기능 중 핵심사업은 여의도종합개발계획, 수도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확대, 영동・강남지구 개발촉진 종합계획 수립, 강남북지역 층수 및 용적률, 건폐율 제한, 서울시 최초의 재개발구역 지정(소공동, 무교동 등 12개 구역), 강남개발계획, 도심재개발기본계획 수립을 들 수 있다.
1972
% complete
강남개발 계획 발표(1970)
1973
% complete
소공, 무교등 12개 구역
1973
% complete
1977
% complete
1977
% complete
1980 - 1989
% complete
‘서울 도시개발 장기구상 중기계획’(1980년)은 1978년의 ‘도시기본계획’과 ‘수도권정비계획’을 바탕으로 재수립한 장기구상·중기계획이다. 중기개발계획 기간(1980년–1986년)에는 여건변화 및 계획기본 방향에 따라 예상되는 도시구조를 보완하고, 장기구상에 따른 구조계획 기간(1987년–2000년)에는 고밀토지이용, 다핵구조화, 생활권계획, 도시환경 정비 등에 역점을 두었다.
1980년대 도시계획의 특징은 1970년대식 개발억제정책에서 벗어나 올림픽 개최도시에 부합하는 시책이 추진되었다는 점이다. 지하철 3호선과 4호선 개통, 자가용 보유율의 증대 등의 변화로 서울의 공간구조는 대변혁의 시대를 맞았다.
1980년대 도시계획 업무기능 중 핵심사업은 강북 건축제한 해제, 잠실지구 도시설계안 작성, 대단위 집합주거단지 계획 수립(노원, 목동), 임대주택촉진법을 들 수 있다.
1982
% complete
한강종합개발사업 계획(1981)
1983
% complete
1984
% complete
1985
% complete
목동, 상계, 중계동 초고층 아파트
1985
% complete
1985
% complete
1987
% complete
1989
% complete
분당, 일산
1990 - 2005
% complete
‘서울시 도시기본계획’(1990년)은 올림픽 이후 국민소득 1만 달러의 새로운 산업국가의 수도로 성장한 서울의 도시여건 변화를 수용하여 수립된 법정계획이다. 1981년 도시계획법 개정에 의한 도시기본계획의 법제화 이후 최초로 결정된 계획이다. 기존 도심의 활동이 유지되는 동시에 부도심의 역할이 증대된 유연한 다핵도시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 계획을 바탕으로 ‘2011 서울도시기본계획’(1997년)이 수립되었는데 이는 민선자치시대를 맞이하여 국내외 여건 변화를 고려한 기본계획이다. 1990년 계획이 서울 중심, 하드웨어 중심 계획이었다면 1997년 계획은 기능분담 및 교통망 계획을 광역적으로 접근하였고 소프트웨어 측면의 계획과 함께 운영·관리를 중시하는 계획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 공원 녹지 등 사회 분야가 대폭 보완됐다.
1990년대 도시계획 업무기능 중 핵심사업은 난지도 생태공원 조성사업, 임대주택법, SH공사의 설립과 운영을 들 수 있다.
1990
% complete
도심재개발에 도심공동화 방지를 위한 제도
2003
% complete
2006 - 2020
% complete
‘2020서울도시기본계획’(2006년)은 ‘2011 서울도시기본계획’(1997년)의 타당성 검토를 거쳐 수정, 보완한 서울도시계획이다. IMF 이후 여건 변화를 반영했으며 행정수도 이전 대응, 청계천 복원, 그린벨트 우선해제 변경 등이 반영되었다. 1도심- 5부도심- 11지역중심- 53지구 중심으로 계획이 세워졌다.
2000년대 도시계획 업무기능 중 핵심사업은 문정지구 도시개발사업, 마곡지구조성, 서울시 뉴타운사업, 도심재생과 청계천 복원계획을 들 수 있다.
2006
% complete